본문 바로가기

IT 개발 관련/JavaSpring

Spring Project 생성

Spring Project 생성

 

먼저 이클립스 마켓플레이스에서 Spring을 다운로드하여 개발환경을 갖추어줍니다.

그리고 이제 스프링 프로젝트를 어떻게 생성하는지 그 순서를 살펴보겠습니다.

 

File에서 New, Spring Legacy Project를 선택해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

 

다음과 같은 창에서 project name은 SpringBoard로 설정하고 

Templates에서 Spring MVC Project를 선택해 Finish버튼을 클릭합니다.

 

 다음과 같이 패키지의 이름을 짓는 창이 나오는데 여기서는 

반드시 지켜주어야하는 것이 무조건. 을 2개 이상 써서 3개의 계층을 가지도록 해야 합니다.

 

여기까지 해주면 다음과 같이 프로젝트가 생성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프로젝트가 생성된 후 간단하게 프로젝트에 대한 설명을 부가적으로 드리겠습니다.

프로젝트는 Spring Legacy Project입니다.

먼저 프로젝트 폴더 바로 아래

src/main/java 는 컨트롤러, service 등에 관여하게 됩니다.

그 아래

src/main/resources 는 벡엔드 로직 관련 파일을 저장하게 되고

src/test/java와 src/test/resources는 테스트 관련 클래스 및 파일을 저장하게 됩니다.

 

그리고 아래로 내려와 servlet-context.xml 파일과 root-context.xml파일은 

웹에 관련된 스프링 설정 파일이나 웹 이외의 내부 로직 관련된 스프링 설정 파일에 관여하게 됩니다.

 

그 아래 views 폴더는 MVC 패턴에서 View 역할을 하게 되고 

그 View 역할을 할 jsp 파일들의 기본 폴더입니다.

 

그리고 그 아래 보이는 web.xml파일은 Tomcat 관리용 파일이 되고

target 폴더 아래에 보이는 pom.xml 파일은 스프링에서 사용할 부가 라이브러리를 관리하게 됩니다.

 

spring 프로젝트를 처음 시작하면서 어려웠던 점이 바로 이점인데 

pom.xml파일에서 기본적인 버전 설정과 더불어 사용할 라이브러리를 가져다가 저장해주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물론 많은 경험이 있으신 분들은 쉽고 빠르게 설정하고 넘어가겠지만 

처음 Spring 프로젝트를 접하는 초심자 입장에서는 꽤 까다로운 작업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참고로 필요한 라이브러리는 메이븐 저장소를 활용하여 관련된 자료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https://mvnrepository.com/ 

 

 

'IT 개발 관련 > Java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Mybatis 연동하기  (0) 2022.06.08
Connection Pool과 HikariCP  (0) 2022.06.06
Spring DB연동 Oracle.ver  (0) 2022.06.03
Lombok 라이브러리 Setting  (0) 2022.06.02
Maven 저장소 활용법  (0) 2022.06.01